미국 외식산업동향
■ 외식산업 규모 미국의 외식산업은 미국 내 노동시장의 9%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취업직군 중의 하나로, 2010년 소비기준 시장규모가…
미국 최대 대형유통매장 ‘월마트(Walmart)’에 가면 다양한 한국산 김 가공제품이 진열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월마트뿐만이…
올해의 미국 식품시장을 선도할 유망 제품으로 고추장이 선정되면서 대미 수출 확대가 기대된다. 현지 유명 식품잡지 ‘Bon Appetit’의 편집장이 직접 프로그램에 나와 소개한 핫 아이템으로는 고추장 외에도 오리알, 차류, 가정에서 만든 요거트, 홀스래대쉬(horseradish) 등 총 5개. 특히 고추장을 소개할 때는 해찬들 순창고추장 제품과고추장으로 만든 요리를 선보이며, 깊은 매운 맛을 가진 한국의 고추장이 세계적인 핫소스 스리라차(Sriracha)를 대신할소스라고 자세히 설명했다. 최근 미국의 3대 공중파 방송 중 하나인 NBC의 대표적인 프로그램 ‘NBC Today Show’에서 고추장이 올해의 미국 식품시장에서 인기를 얻을 ‘핫 트렌드’로 뽑혔다. 싸이의 강남스타일과 같은 K-Pop이 미국 내에서 좋은 반응을 얻으며 비빔밥 등의 한식 소비 활성화로 이어지고 있는 것도 고추장 대미 수출확대를 기대할 수 있는 요인이다. 이에 따라 CJ와 샘표 등 장류 수출업계는 현지소비자를 대상으로시식 등 다양한 판촉행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출처 kati.net
미국에서 표고버섯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국산 표고버섯의 대미 수출 마케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최근 발표한 미국 표고버섯 해외시장동향 및 전망에 따르면 현지에서 표고버섯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비만을 이에 aT는 현지의 높은 인기를 발판삼아 한국산 표고버섯을 적극 홍보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현재 한국산 표고버섯은 한인마켓 중심으로 유통되고 있다. 이에 현지 버섯박람회 등에 참가해 국산제품의 우수성을 널리 알려 현지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염려하는 현지인이 늘어나면서 건강에 좋은 채식식단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 중 표고버섯은 미국 의학계에서 표고버섯의 효능을 입증하는 연구결과를 계속적으로 발표, 타 버섯류(양송이와 팽이)에 비해 더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지에서 건조 버섯이 인기를 얻고 있어 이와 관련한 상품을 개발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다. 유통비용은 물론 신선도 측면에서 수출 부담을 충분히 줄일 수 있다는 것이 aT의 설명. 짧은 요리시간이 현지인의 제품 구매의 중요한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는 만큼, 급속 냉동 건조방식의 상품이나 잘게 자른 제품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 30g 단위의 소포장이나 매대에 세울 수 있는 포장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으로…
한인마켓에서 판매되고 있는 김치가 현지인 주류시장으로 영역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미국 내 한인마켓에서는 한국에서 수출되는 김치, 현지에서…
채소로 만든 햄버거나 콜레스테롤 없는 피자 등 새로운 개념의 건강식이 향후 미국의 유기농식품시장을 주도할 것으로…